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3월 1주차 양채류 주간 시황

2017-03-03 오후 11:53:19

경매사사진

경매사 신윤섭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양상추

경매시간

18:00

전화번호

010-9985-3449

이메일

shin342@donghwafp.com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3월 1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양상추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5,500 13,500 2,000
평균 9,083 8,381 702
최저 3,000 2,000 1,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 주산지인 광양,하동,의령,제주 지역 맑은 날씨로 생육 활발하여 물량 수급 

         원활함. 

<양상추>

주출하지역 : 남부지역(100%)물량은 전주대비 증가.

출하동향/작황상태 : 광양,의령지역 2모작 시작으로 국내산 반입량 증가 하였으며

                               수입 양상추 국내산 영향으로 2~5천원대 시세 형성으로 반입량 없음.

<브로코리>

주출하지역 : 제주(70%),수입(30%)물량은 전주대비 증가.

출하동향/작황상태 : 제주지역 노지 브로코리 작업량 증가하여 국내산 반입량

                               증가하였으며 수입 브로코리 통관량 증가로 반입량 증가함.

시장동향

<양상추>

물량/재고량 : 반입 물량은 167톤(전주대비비 +30.3톤 증가) 

                     남부지역 위주 출하가 되고 있으며 의령,광양 지역 2모작 시작으로

                     국내산 반입량 증가 하였으며 학교 개학등 납품량 증가에 의한 

                     소비 호전으로 중도매인 재고 감소하여 시세 상승세 형성. 

유통현황 : 소마트 및 대형마트 납품량 전주대비 감소 학교 개학으로 학교 및

                관공서 납품량 증가.

<브로코리>

물량/재고량 : 반입 물량은 89톤(전주대비 +19.7톤 증가)

                     제주지역 성수 출하중으로 노지 브로코리 작업량 증가하여 

                     반입량 증가 하였으며 수입 브로코리 통관량 증가로  반입량 증가 하였음. 

                     매기 다소 호전으로 반입량 증가하였으나 시세 상승세 형성.

유통현황 소마트 및 대형마트 납품량 전주 대비 증가 학교 개학으로 학교 및

                관공서 납품량 증가.

금주경매시세

<양상추>

최고시세 : 12,000 ~ 15,500(원)

평균시세 : 7,000 ~ 9,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 +1,000(원) / +12.5(%) 상승.

 벌크 양상추의 품위하락 및 저장기간 감소로 비닐 소포장 양상추의 선호도가 높으며

   수분 및 끝말림,먹줄이 없는 양상추가 높은 시세 형성.

<브로코리>

최고시세 : 18,000 ~ 23,000(원)

평균시세 : 15,000 ~ 17,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 +500(원) / +3.4(%) 상승세.

브로코리는 실중량 8kg이상의 입자가 고우며 색이 푸른 브로코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세 형성.

내주 소비지전망 <양상추>

유통전망중소마트 및  대형마트 납품량 증가 예상. 관공서 및 학교 납품량 증가 예상.

<브로코리>

유통전망 : 중소마트 및 대형마트 납품량 감소 예상. 관공서 및 학교 납품량 증가 예상.

내주경매 시세전망

<양상추>

물량 의령 지역 작목반 출하물량이 마무리 되고 있으며 합천지역 출하량 소폭 증가 예상됨.

          개학으로 인한 납품량 증가로 매기 호전하여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 상됨.          

시세 : 중도매인 재고 감소 하겠으며 반입량 감소하여 시세 상승세 예상됨. 

<브로코리>

물량 일조량 증가로 제주지역 생육 활발 하여 국내산 반입량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

          브로코리 시세 약상승세 형성으로 반입량 약증가 예상됨.

시세 : 중도매인 재고 감소 하겠으며 반입량 감소하여 시세 상승세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