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2월 2주차 엽채류 주간 시황

2017-02-10 오후 10:22:28

경매사사진

경매사 나혁채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상추(포기찹)

경매시간

18:3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2월 2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상추(포기찹) 4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2,600 14,700 2,100
평균 5,161 7,266 2,105
최저 1,000 2,000 1,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엽채류 주산지 기온하락에도 주중 맑은 날씨 이어졌으며 물량 수급에 어려움이 없었음.

<상추류> - 전주 구정연휴로 실 경매일 4일 / 금주 6일

주출하지역: 경기권, 충청권(논산, 충주, 익산등) 85% 이상 출하이며 기타지역 15% 출하중임

출하동향/작황상태: 지속적인 저단가 형성에도 전주 일 반입량 감소에 각 산지별 일일 작업물량 전주대비 7% 증가

                                 / 충청권, 경기권 산지 재배면적 증가에도 기온 하락등으로 작황상태 불량

<쑥  갓>

주출하지역: 경기권(이천, 여주, 양주등)에서 85% 이상 출하중이며 기타지역 15% 출하중임

출하동향/작황상태: 전주 시세 상승 및 반입량 감소에도 기온하락등으로 각 산지별 일일 작업량 전주대비 17% 감소

                                 / 경기권 식부면적 증가하였으나 기온 하락등으로 작물 성장이 더딤

<청경채>

주출하지역: 용인 모현, 이천지역에서 85% 이상 반입중이며 그 외 지역(여주, 성남등) 소량 출하중임

출하동향/작황상태: 전주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연이은 시세 하락으로 각 산지별 일일 작업물량 전주대비 21% 감소

                                 / 이천으로 일부 출하주들 이주하여 작업중이며 기온하락으로 작황상태는 좋지 않은 편임

<알배기>

주출하지역: 강원도지역, 충남 홍성지역에서 일부 출하중이며 전라도지역에서 출하중임

출하동향/작황상태: 전주 시세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반입량 감소에 전라도지역 일일 작업물량 전주대비 25% 증가

                                 / 동절기 강원도 일부지역 및 전라권 출하 시작하였으며 식부면적 증가 및 작황상태 불량

시장동향

<상추류>

물량/재고량: 당사 182톤 반입(전주대비 +61톤) / 지속적인 저단가 형성에도 시장 소비 부진으로 각 상회 재고 증가

유통현황: 지방시장등 소비처 주문량 감소하였으며 시장 소비 매기 부진

<쑥  갓>

물량/재고량: 당사 42톤 반입(전주대비 +10톤) / 시세 상승으로 식자재등 주문량 감소에 시장 재고 증가

유통현황: 소비처 주문량등 중도매인 납품물량 감소하였으며 시장 소비 매기 부진

<청경채>

물량/재고량: 당사 106톤 반입(전주대비 +15톤) / 전주 시세 하락으로 시장 소비동향 원활하여 각 상회 재고 감소

유통현황: 외주 소비업체 위주로 주문량 증가하였으며 시장 소비매기 원활

<알배기>

물량/재고량: 당사 223톤 반입(전주대비 +115톤) / 지속적인 고단가 형성으로 시장 소비 부진하여 재고 증가

유통현황: 지방시장, 대형마트등 주문량 감소하였으며 시장 소비 매기 부진

금주경매시세

<상추류>

최고시세: 12,600 ~ 10,000(원)

평균시세: 7,000 ~ 5,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2,105(원) / -29.0(%) 하락세

보합세 형성에도 시장 소비 부진 및 전 분산처 주문량 감소하였으며 전주대비 반입량 증가에 시세 하락

<쑥  갓>

최고시세: 9,600 ~ 7,000(원)

평균시세: 6,500 ~ 4,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2,402(원) / -28.6(%) 하락세

전주대비 일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시세 상승으로 시장 소비 부진 및 식자재등 소비처 주문량 감소하여 시세 하락

<청경채>

최고시세: 8,700 ~ 7,500(원)

평균시세: 6,500 ~ 5,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1,753(원) / +42.6(%) 상승세

시세 하락으로 주중 시장 소비 원활 및 전 분산처 주문량 증가하였으며 전주대비 일 반입량 감소에 시세 상승

<알배기>

최고시세: 27,600 ~ 22,000(원)

평균시세: 18,000 ~ 12,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4,761(원) / -25.4(%) 하락세

시세 상승으로 주중 중도매인들 납품량 감소하였으며 시장 소비 부진 및 전주대비 일 반입량 증가에 시세 하락

내주 소비지전망

<상추류>

유통전망: 금주 하락세 형성에도 내주 특별한 소비요소 부재로 식자재, 대형마트등 주문량 감소 예상

<쑥  갓>

유통전망: 시세 하락하였으나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식자재, 직판장등 주문량 감소할 전망

<청경채>

유통전망: 금주 시세 상승에도 외주 소비업체등 주문량 및 시장 소비 원활할 전망

<알배기>

유통전망: 금주 시세 하락에도 엽채류 타품목대비 고단가 형성으로 전 분산처 주문량 감소 예상

내주경매 시세전망

<상추류>

물량: 금주 하락세 형성하였으며 일일 반입량 증가에 내주 각 산지별 일일 작업량 감소할 전망

시세: 반입량 감소할 전망이나 소비매기 및 소비처 주문량 감소할 전망에 하락세 전망

<쑥  갓>

물량: 시세 하락하였으나 연이은 반입량 감소에 내주 각 산지별 일일 작업량 증가할 전망

시세: 반입량 증가 예상되며 식자재, 직판장 및 시장 소비 감소할 전망에 하락세 예상

<청경채>

물량: 금주 일일 반입량 감소하였으며 시세 상승으로 내주 각 산지별 일일 작업량 증가 예상

시세: 반입량 증가할 전망이나 소비매기 및 중도매인 납품량 증가할 전망에 소폭 상승세 예상

<알배기>

물량: 금주 반입량 증가에 시세 하락하였으며 전라권 일일 작업물량 감소할 전망

시세: 반입량 감소할 전망이며 지속적인 고단가 형성으로 주문량 감소할 전망에 하락세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