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4월 1주차 부추 주간 시황

2016-04-01 오후 4:34:28

경매사사진

경매사 김낙주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부추

경매시간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4월 1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부추 0.5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3,000 2,800 200
평균 1,343 1,366 23
최저 500 200 3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 주 산지 경상도지역 기온 상승, 물량수급에 어려움이 있었음

<부추>

주출하지역 : 경남(25%), 경북(40%), 울산(30%), 기타(경기, 강원 5%)지역 등

                  전주대비 경남, 울산지역 약10%정도 산지작업량 감소, 경북지역 10%정도 작업

                  증가, 반입물량 전주대비 큰폭으로 증가 

출하동향/작황상태 : 울산지역 지방도매시장 분산 출하 물량 전주대비 증가, 경기도, 강원도 

                            지역 출하 격일로 출하, 작황상태는 작물생육 양호하나 기온 상승으로

                            짓무름 발생과 누렇게 뜨는 현상 증가 

<영양부추>

주출하지역 : 양주(90%), 기타(10%, 여주, 연천)지역

출하동향/작황상태 : 전주대비 양주지역 반입물량 증가, 연천, 여주지역 물량 증가세 지속

                            작황상태는 양호한 편

시장동향 <부추>

물량/재고량 : 반입물량288톤(전주 대비 +108톤), 전주대비 물량 증가세, 기온 상승 지속

                   지방도매시장 분산 출하 소폭 증가, 중도매인 납품 전주대비 소폭 감소

                   시세 전주대비 보합세 형성

유통현황 : 학교 등 식자재, 직판장, 중소마트 및 대형마트, 지방 납품 등 전주대비 소폭 감소

<영양부추>

물량/재고량 : 반입물량 6.4톤(전주대비 +1.8톤), 전주대비 물량 증가, 중도매인 납품 감소로

                   시세 전주대비 하락세 형성 

유통현황 : 학교 등 식자재, 직판장 등 전주대비 감소, 중소마트, 지방 납품은 전주대비 감소

금주경매시세 <부추>

최고시세3,000 ~  1,600(원)

평균시세 2,700 ~  1,700(원)

하품시세 :    500 ~     5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 -50(원) / -1.7(%) 보합세

 기온 상승으로 인한 짓무름, 병기(끝마름) 등 품질관리 철저, 누렇게 뜨는 현상 주의, 물기 

    제거, 신문지 작업, 선별 철저 

<영양부추>

최고시세 1,400 ~   900(원)

평균시세 : 1,200 ~ 1,000(원)

하품시세 :    550 ~    55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 -90(원) / -8.1(%) 하락세 

 영양부추 짧은것은 따로 작업 

내주 소비지전망

<부추>

기온 지속적 상승으로 내주 산지작업 증가 예상, 경기도, 강원도지역 전주대비 물량 증가예상, 소비는 식자재 발주, 지방발주 및 중소, 대형마트 납품 금주대비 소폭 감소 예상

<영양부추 >

기온 상승으로 산지작업량 증가 예상, 소비는 식자재 발주, 지방발주 및 중소마트 발주 소폭 감소 예상

 

전국민 부추 소비에 동부팜청과(주)가 앞장 서겠습니다

    바삭바삭 부추전 만드는법 황금레시피 [호바라기 푸드스토리 발췌]

    http://hobaragi201.blog.me/220660972016 

내주경매 시세전망 <부추>

물량 산지 기온 상승 영향으로 내주 경기, 강원지역 산지작업량 증가예상, 반입물량 증가 예상  

시세 : 식자재 발주 증가 및 중도매인 지방발주 및 대형마트 납품 소폭 감소 예상, 시세 약보합세 예상 

<영양부추 >

물량 : 산지 기온 상승 영향으로 내주 산지작업량 증가예상, 반입물량 증가 예상  

시세 : 식자재 발주 증가 및 지방발주, 대형마트 납품 소폭 감소 예상, 시세 약보합세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