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2월 3주차 버섯 주간 시황

2016-02-19 오후 7:40:35

경매사사진

경매사 민종우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버섯(새송이)

경매시간

21:3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2월 3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버섯(새송이) 4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2,000 12,000 00
평균 7,702 8,604 902
최저 5,000 7,000 2,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주중 산지 맑은 날씨로 인하여 물량 수급에 어려움이 없었음.  

<느타리>

주출하지역: 경기 양평(50%),여주(30%),그 외 경기 일부 및 충청권 (20%) 출하중임

출하동향/작황상태 : 기온 상승 에 따른 작업물량 증가

<새송이>

주출하지역: 경북 상주(35%),문경(15%),성주(15%),김천(15%),그외 경기 안성 및 충북 지역(20%) 출하중임

출하동향/작황상태 : 산지작황 저조로 금주 반입량 감소

<표고>

주출하지역: 경기 여주,용인(25%),충남 부여,예산,홍성,청양(30%),충남 보령(25%),경남 진주(15%) 그외 지역(10%)

출하동향/작황상태 : 기온 상승에 따른 각 출하지역 작업물량 증가

시장동향

<느타리> 

물량/재고량: 금주 당사 78(톤) 반입 / 전주대비 -20(톤) 감소

식자재 납품: 학교, 관공서, 마트 납품 감소

대형마트/중소형마트 납품: 대형마트,중소형마트 매기 침체로 납품 감소

명절/행사영향: 영향 없음

<새송이>

물량/재고량: 금주 당사 85(톤) 반입 / 전주대비 -15(톤) 감소

식자재 납품: 학교, 관공서, 마트 납품 감소

대형마트/중소형마트 납품: 대형마트,중소형마트 매기 침체로 납품 감소 

명절/행사영향: 영향 없음

<표고>

물량/재고량: 금주 당사 39(톤) 반입(수입포함) 전주대비 +5(톤) 증가 

식자재 납품: 학교, 관공서, 마트 납품 감소

대형마트/중소형마트 납품: 대형마트 납품 감소,중소형마트 납품 감소

명절/행사영향: 영향 없음

금주경매시세

<느타리> 

최고시세: 대작업 16,500 ~ 11,000원

평균시세: 벌크 4,500 ~ 3,500원

하품시세: 500 ~ 1,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5,000(원) / -12(%) 하락세

삿갓은 지름이 3~15cm정도이며 부채 모양 또는 반달 모양을 이루고, 겉면은 밋밋하고 회백색을 띄는것이 좋습니다.

<새송이

최고시세: 12,000 ~ 8,500원

평균시세: 6,500 ~ 5,500원

하품시세: 1,500 ~ 3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1,000(원) / -3(%) 하락세

균사조직이 치밀하며 육질이 뛰어나는게 맛이 탁월하여 선호도가 높습니다.

<표고

최고시세: 4kg 68,000 ~ 62,000원

평균시세: 4kg 28,000 ~ 25,000원

하품시세: 4kg 9,000 ~ 6,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8,000(원) / -21(%) 하락세

※ 전신이 육질로 차 있고 삿갓 상면은 회갈색이고 띠는 백색이 좋으며 수분 과다 및 저장 기간이 길면 갈변색으로 변하니 따로 선별 요합니다.

내주 소비지전망

<느타리> 

별다른 호재 없으며, 학교 방학에 따른 식자재 납품 감소 전망

<새송이>

소비 매기 부진에 따른 대체적으로 부진할것으로 전망됨  

<표   고>

 외식업체 및 식자재 발주 감소 전망되며, 소비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됨

내주경매 시세전망

<느타리> 

물량: 시세 상승세에 따른 물량 증가 전망

시세: 물량증가 대비 재고량 증가 할것으로 보이며, 시세 약보합세 전망

<새송이

물량: 산지 작항 부진에 따른 물량 감소 전망

시세: 학교방학 영향 식자재 발주 감소, 약보합세 전망됨

<표고

물량: 금주 시세 약세에 따른 작업물량 감소 전망

시세: 시장내 재고물량 증가로 시세 약보합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