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1월 3주차 쌈채류 주간 시황

2016-01-16 오전 12:40:35

경매사사진

경매사 나혁채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겨자(잎)

경매시간

18:3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1월 3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겨자(잎) 2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7,000 20,000 3,000
평균 4,198 7,936 3,738
최저 800 500 3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주중 산지 기온 저하로 인하여 물량 수급에 어려움이 있었음.

<쌈채류>

주출하지역:

경기권(하남, 이천, 여주, 남양주등) 및 서울 근교(송파, 강동등) 80% 이상, 그 외지역(구미, 김천, 밀양등) 20%정도 년중 출하중임

<겨자류>

주출하지역:

경기권(이천, 여주등) 85% 이상 출하중이며 하남, 양평등 그 외지역 소량 반입중임

전주부터 이어진 시세 하락하여 각 산지별 작업물량 감소하여 전주대비 당사 총 반입물량 20% 감소함

출하성향/작황상태:

강동지역 개발로 인한 일부 출하주 이천, 안성등으로 이주중이며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작물성장이 더딘편임

<비타민>

주출하지역:

서울근교(강동, 송파등 60%)에서 출하중이며 하남, 이천, 광주등 경기권(40%)에서도 출하중임

전주 시세 하락 및 연이은 저단가 형성으로 각 산지별 작업물량 감소하여  전주대비 당사 총 반입물량 10% 감소함

출하성향/작황상태:

서울 근교지역은 이천, 여주등으로 출하주들 이주중이며 여주, 광주등 재배면적 증가 추세임

지속적인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작황상태는 좋지 않은 편임

<케  일>

주출하지역:

경기권(이천, 여주, 음성등)에서 70% 이상 출하중이며 그 외지역(양평, 광주, 성남등 30%) 출하중임

시세 상승에도 전주 시세 하락 및 케일류 재배면적 감소로 전주대비 당사 총 반입물량 18% 감소함

출하성향/작황상태:

서울 근교 재배면적은 감소 추세이나 경기권 재배면적은 증가하였으며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작황상태는 좋지 않은 편임

시장동향

<겨자류>

물량/재고량:

연이은 시세 하락중이나 전주대비 외부주문량 감소 및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시장내 소비동향 부진하였으며 전주대비 당사 반입물량 증가로 각 상회 재고물량 증가

식자재 납품/대형마트/백화점 납품:

지방시장, 대형마트등 주요 소비처 주문량, 중도매인 납품량 소폭 감소 및 중소형마트등 주문량은 비슷함

<비타민>

물량/재고량:

전주대비 당사 반입물량 감소 및 시세 하락에도 시장내 소비동향은 부진하였으며 식자재등 외주 소비업체 주문량 감소하여 각 상회 재고 증가

식자재납품/대형마트/백화점 납품:

지속적인 저단가 형성에도 식자재, 외주 소비업체 및 대형마트등 주요 소비처 납품량 감소 및 시장내 소비동향 또한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부진함

<케  일>

물량/재고량:

전주 시세 상승으로 시장내 소비동향 부진하였으며 대형마트, 식자재등 주문량 감소 및 당사 반입물량 증가하여 각 상회 재고량 증가

식자재 납품/대형마트/백화점 납품:

시세 하락 및 연이은 저단가 형성에도 직판장, 식자재 주문량 및 주요 소비처인 대형마트, 지방시장등 주문량 감소

항암작용에 필요한 섭취량은 하루 1500g 정도. 가능하면 믹서기에 갈아 주스를 만들어 마시는 것이 좋다.

금주경매시세

<겨자류>

최고시세: 17,000 ~ 9,000(원)

평균시세: 7,000 ~ 4,000(원)

하품시세: 3,000 ~ 8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기준): -3,738(원) / -89.0(%) 하락세

극심한 소비 침체로 시장내 소비매기 부진하며 납품물량 또한 감소하여 하락세 형성

<비타민>

최고시세: 18,000 ~ 10,000(원)

평균시세: 8,000 ~ 5,000(원)

하품시세: 3,000 ~ 1,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기준): -1,499(원) / -23.9(%) 하락세

연이은 시세 하락에도 주중 식자재, 직판장등 주문량 감소로 하락세 형성

<케  일>

최고시세: 15,000 ~ 9,000(원)

평균시세: 8,000 ~ 4,000(원)

하품시세: 3,000 ~ 2,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 기준): -2,996(원) / -71.5(%) 하락세

극심한 소비 침체로 시장내 소비매기 부진하며 납품물량 또한 감소하여 하락세 형성

내주 소비지전망

<겨자류>

쌀쌀한 날씨 지속 예상되고 금주 시세 하락에도 식자재 발주 감소, 지방발주 감소, 중소, 대형마트 납품감소, 소비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됨

<비타민>

학교 방학중으로 식자재 발주 및 및 쌀쌀한 날씨 지속 예상으로 지방시장, 대형마트 주요 소비처 주문량 감소 및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시장내 소비동향 또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됨

<케  일>

기온하락 및 급격한 소비 침체에 식자재 발주 감소, 지방시장 발주량 감소등 소비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됨

내주경매 시세전망

<겨자류>

물량: 금주 시세 하락 및 연이은 시세 하락으로 각 산지별 작업물량은 소폭이나마 감소할 전망임

시세: 기온하락등 영향으로 시장내 소비매기 부진할 전망이며 지속적인 시세 하락에도 식자재등 주문량 또한 감소할 전망에 각 상회 재고 증가가 예상되며 시세는 약 보합세 전망됨

<비타민>

물량: 연이은 저단가 형성중이나 금주 일 평균 반입물량 감소 및 재배면적 증가에 각 산지별 작업물량은 증가할 전망임

시세: 금주 시세는 하락하였으나 시장내 반입물량은 증가할 전망이며 시장내 매기부진으로 각 상회 재고량 증가할 전망에 시세는 하락세를 이룰 것으로 전망됨

<케  일>

물량: 금주 일 평균 반입물량 증가 및 시세 하락으로 각 산지별 작업물량 감소할 전망임

시세: 금주 시세 하락으로 시장내 소비동향 및 모든 소비처 주문량 증가할 전망으로 시세는 소폭이나마 상승할 전망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