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12월 4주차 오이,호박 주간 시황

2015-12-26 오전 12:08:59

경매사사진

경매사 서정관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오이(다다기)

경매시간

22:0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12월 4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오이(다다기) 18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72,000 89,000 17,000
평균 34,508 31,601 2,907
최저 6,000 2,000 4,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주산지 날씨 흐림(비)으로 인하여 산지 수확량이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다기오이>

현재 출하되는 지역은 고흥지역 및 상주지역에서 겨울작기 물동량이 출하가 되고있는 상황이나 흐린날씨로 인하여 주초반까지 물동량 증가 속도가 더딘 상황이었습니다. 주후반부터 차츰 수확량이 증가하는 상황입니다.

<취청오이>

전라도 지역 새취청오이의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증가속도가 더딘 상황으로 격일제로 출하중인 상황입니다. 진천 및 천안지역은 막바지 출하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애호박>

주 출하지역은 경상권(진주)애호박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충청지역(청원,부여)에서 막바지 작업으로 격일제로 출하가 되는 상황으로 흐린날씨로 물동량이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가지>

대구지역 및 광주지역 가지가 격일제로 출하되고 있는 상황이나 흐린날씨로 물량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무수정가지인 아바,팽팽이 가지가 소량 출하되고 있는 상황으로 유통업체 발주가 차츰 시작되는 상황으로 매기가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시장동향

<다다기오이>

지속된 흐린날씨로 인하여 전반적인 물동량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으로 매기는 활발한 상황입니다.

<취청오이>

큰일교차로 물동량이 많지 않은 상황으로 주중반 까지 지방시장 발주량 증가 및 유통업체 발주량 증가로 매기는 활발하였으나 주후반 전남지역 물동량 증가로 지방발주량이 감소하여 시세가 하락세를 형성하였습니다.

<애호박>

큰일교차로 인하여 물동량이 감소한 상황이나 대형 유통업체 할인 행사로 전반적인 매기는 활발하였습니다.

<가지>

주중반까지 대형 통업체 할인행사로 발주량 증가하여 매기 활발한 상황이었으나 주후반 유통업체 발주물량이 미비하여 매기가 다소 주춤 하였습니다.

금주경매시세

<백다다기> 

최고시세 72,000~70,000원/평균시세 65,000~55,000원 (전주대비 +2,907원/9.20% 상승)

<취청>

최고시세 37,000~35,000원/평균시세 26,000~20,000원 (전주대비 -6,020원/28.61% 하락)

<애호박>

최고시세 29,000~28,000원/평균시세 26,000~23,000원 (전주대비 +42/0.25% 상승)

<가지>

최고시세 28,500~28,000원/평균시세 26,000~25,000원 (전주대비 -1,000원/8.43% 하락)

내주 소비지전망

<다다기/ 취청오이>

흐린날씨로 인하여 물동량은 많지 않은 상황이나 시세가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주중반이후 물동량이 회복될것으로 보이나 저단가로 소비가 살아날것으로 예상되어 매기는 활발할것으로 전망됩니다.

<애호박>

진주지역 인큐호박물동량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나 유통업체 할인행사로 인하여 매기는 활발할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지>

경상권 및 전라도권 하우스가지의 반입으로 전반적인 품질이 향상된 상황에 물동량이 부족한 상황으로 매기는 지속적으로 활발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내주경매 시세전망 <다다기/ 취청오이>

전라도지역 및 상주지역 물동량이 차츰 증가하는 상황이나 시세가 안정화된 상황으로 소비가 활성화되어 시세는 강보합세가 예상됩니다.

<애호박>

 주초까지는 유통업체 행사로 인하여 시세는 강보합세가 예상되나 주후반 정식이 늦은 농가들의 호박 물동량도 차츰 출하가 시작될것으로 예상되어 시세는 하락세가 예상됩니다.

<가지>

시장 물동량이 부족한 상황에 유통업체 행사로 인한 발주량 증가로 지속적인 시세 강세가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