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산지동향 |
금주 대체적으로 맑은 날씨를 보였으며, 경기 지역(고양, 포천) 산지 작업 원할한 편으로 반입물량 전주대비 비슷하였음.
<시금치>
당사 출하처는 경기 지역(고양, 포천) 100% 출하되고 있으며, 산지 작업 원할한 편으로 전주대비 반입물량 비슷하였음.
<열무>
당사 출하처는 경기 지역(고양, 포천) 100% 출하되고 있으며, 산지 작업 원할한 편으로 전주대비 비슷하였음.
<얼갈이>
당사 출하처는 경기 지역(고양, 포천) 100% 출하되고 있으며, 산지 작업 원할한 편으로 전주대비 증가하였음.
<쪽파>
충남 지역(당진, 예산) 산지 작물 전환시기로 전체적으로 전주대비 반입량 감소하였으며, 당사 반입량 70% 당진, 30% 예산지역에서 반입되고 있음.
대파 주간시황은 파,옥수수,두류로 따로 분리되어 작성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고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시장동향 |
<시금치>
전주대비 시금치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증가로 시세 상승세 형성되었으며, 반입물량에 따른 시세 편차가 형성됨.
<열무>
전주대비 열무 소비매기 주춤하여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김치공장 납품량 감소로 시세 하락세 형성되었으며, 반입물량에 따른 시세 편차가 형성됨.
<얼갈이>
전주대비 얼갈이 소비매기 주춤하여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김치공장 납품량 감소로 시세 하락세 형성되었으며, 반입물량에 따른 시세 편차가 형성됨.
<쪽파>
기온상승으로 인한 충남 지역(당진, 예산) 쪽파 상품성 변질 및 병기로 인해 전주대비 시세 하락세 형성되었으며, 쪽파 농가 작물전환 시기로 산지 대기물량 점차적으로 감소 예상됨.
(기온상승 영향으로 상품 변질이 심하여 전체적으로 고품질과 저품질의 시세 편차가 심해지고 있으니 작업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금주경매시세 |
<시금치>
최고시세(단당) 1,800원 ~ 1,260원 / 평균시세 1,130원 ~ 1,000원(전주대비 +250원 / 22% 상승)
<열무>
최고시세(단당) 2,530원 ~ 2,400원 / 평균시세 1,450원 ~ 1,200원(전주대비 -150원 / 10% 하락)
<얼갈이>
최고시세(단당) 1,360원 ~ 1,000원 / 평균시세 750원 ~ 500원(전주대비 -250원 / 33% 하락)
<쪽파>
최고시세 40,000원~33,000원 / 평균시세 25,000원~18,000원(전주대비 -1,000원 / 4% 하락) |
내주 소비지전망 |
<시금치>
기온상승으로 인한 산지작업 원할한 편으로 반입물량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며, box작업물량 비중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기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니 작업시 상품이 변질되지 않게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열무>
기온상승으로 인한 산지작업 원할한 편으로 반입물량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며, box작업물량 비중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기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니 작업시 상품이 변질되지 않게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얼 갈이>
기온상승으로 인한 산지작업 원할한 편으로 반입물량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며, box작업물량 비중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기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니 작업시 상품이 변질되지 않게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쪽파>
충남 지역(당진, 예산) 작물전환 시기로 점차적으로 작업물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기 지역(고양, 포천) 쪽파 작업물량 점차적으로 증가 예상됨.
(제주지역 동절기 쪽파(box), 깐쪽파 작업 종료됨.) |
내주경매 시세전망 |
<시금치>
내주 전반적인 시금치 소비매기 원할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금주대비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어 시세 보합세 예상됨.
<열무>
내주 전반적인 열무 소비매기 원할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어 시세 보합세 예상됨.
<얼갈이>
내주 전반적인 얼갈이 소비매기 원할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어 시세 보합세 예상됨.
<쪽파>
충남 지역(당진, 예산) 상품성 변질에 따른 시세 편차가 크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반입물량 감소에 따른 시세 보합세 예상됨, 경기 지역(고양, 포천) 쪽파 작업물량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반입물량에 따른 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