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2월 1주차 고추 주간 시황

2015-02-06 오후 9:31:16

경매사사진

경매사 이재욱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고추(청양)

경매시간

22:3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2월 1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고추(청양)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72,000 167,000 5,000
평균 142,677 133,458 9,219
최저 35,000 70,000 35,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주간 산지 날씨는 맑은 날씨가 지속되었으며, 비나 눈이 내릴때도 있었음.

물량수급은 조금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원활하였음.

□2월 2일 ~ 2월 08일

- 기온은 평년(-0.4˚C)보다 높겠으며, 강수량은 평년(4.0mm)과 비슷할 듯.

-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때가 많겠음.

<청양> 

금주 산지작업량은 시세 고단가 지속에도 지방시장 시세 강세로 반입량은 전주대비 약간 감소하였습니다. 진주, 밀양지역을 중심으로 반입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차주 반입량은 기온 상승과 더불어 금주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녹광> 

금주 산지작업량은 전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반입량 또한 전주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금주 시세는 중도매인 매기 증가로 주 중반 이후 상승세가 이어졌으며, 시세 상승여파로 차주 반입물량은 금주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홍고추> 

금주 반입량은 전주와 비슷하였으며 전라도 지역의 반입량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고, 작기 마무리 시점에 접어들었으며, 진주지역의 반입 또한 시작되고 있습니다. 반면 중도매인의 매기는 다소 주춤하여 시세는 주 중반 이후, 하락세로 접어들었습니다.

<피망>

진주지역의 반입량이 출하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라도 지역은 홍피망 중심으로 출하가 되고 있습니다.  주 중반 이후 시세는 물량감소 및 매기 증가와  더불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산지 작황은 기온 상승으로 다소 늘어나고, 차주 작업물량은 금주 대비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파프리카>

산지작업은 전주대비 증가하였으며,  진주지역 및 남부지방의 반입량은 수출물량 감소 및 지방시장 약세로 전주 대비 약간 증가하였으며, 중도매인 매기는 전주대비 비슷하였습니다.

시장동향 <청양>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시세는 매기 증가로 지속적으로 약승세를 보였습니다. 진주, 밀양지역의 청양의 반입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도매인 매기는 비슷하다가 증가하였고, 당분간 현 상황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녹광>

전주대비 반입량은 소폭 감소하였으며, 시세는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중도매인 매기 개선으로, 중반이후 시세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차주 반입량은 금주대비 소폭 증가하고, 시세는 금주에 이어 약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홍고추>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전라도지역에서 주 출하가 되고 있습니다. 전주대비 중도매인 매기는 개선되어, 시세는 주 내내, 고단가의 보합세를 보였고, 시세는 당분간 이와같은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피망> 

주 산지인 진주지역의 반입량은 증가하였습니다. 시세는 주 중반 이후, 약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중도매인의 매기는 증가하였고, 시세는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홍피망은 반입량이 감소한 반면, 매기는 증가하여, 시세는 전주 대비 상승세를 기록하였습니다.  

<파프리카>

파프리카는 전주대비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시세는 전주대비 약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진주지역의 출하량은 꾸준하였고, 반입량은 약간 증가하였습니다. 중도매인 매기는 전주대비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한 수준이었습니다.

금주경매시세 <청양>

최고시세 172,000 ~ 105,000 원 / 평균시세 165,000 ~ 106,000 원 (전주대비 +13,000원 / 8% 상승)

<녹광>

최고시세 112,000 ~ 25,000 원 / 평균시세 98,000 ~ 50,000 원 (전주대비 +36,000원 / 30% 상승)

<홍고추>

최고시세 170,000 ~ 65,000 원 / 평균시세 151,000 ~ 89,000 원 (전주대비 -13,000원 / 8% 하락)

<피망>

최고시세 85,000 ~ 20,000 원 / 평균시세 81,000 ~ 34,000 원 (전주대비 +35,000원 / 37% 상승)

 <파프리카>

최고시세 39,000 ~ 15,000 원/ 평균시세 38,000 ~ 18,000 원 (전주대비 +7,000원 / 10% 상승)

내주 소비지전망 <고추> 

청양, 녹광 등의 반입량 감소 및 매기 개선으로 시세가 상승세이며, 차주 중도매인 구매성향은 금주대비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한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세는 금주대비 보합세 내지 약상승세가 예상됩니다.

<피망>

청피망은 금주 시세가 주 중반이후 약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반입량은 소폭 감소한 반면, 중도매인의 매기는 다소 증가한 상태입니다. 소비는 전주대비 소폭 감소한 수준이었고, 내주 소비는 금주와 비슷한 상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파프리카>

파프리카는 시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습니다. 주 중반 이후, 반입량은 소폭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는 전주와 비슷한 편이었습니다. 소비관련, 중도매인의 구매성향은 금주와 비슷하고, 차주 시세는 금주에 이어 보합세 내지 약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내주경매 시세전망 <고추>

청양의 경우, 산지 기상상태는 기온이 상승하고, 작황이 증가하고, 경상도 지역의 물량은 지속적으로 출하되고 있으나, 지방시장 강세로 반입량은 감소하였습니다. 중도매인 매기는 전주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차주 시세는 고단가의 약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하량은 전주대비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차주 시세관련, 중도매인 매기는 다소 늘어났으며, 전반적인 시세는 보합세 내지 약상승세가 예상됩니다.

<피망>

내주 반입량은 진주지역 출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라도 지역은 작기가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반입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시세는 매기 증가로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파프리카>

금주 대비 반입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진주지역의 반입량은 전주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도매인 매기는 전주대비 증가하고, 시세는 금주대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