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11월 3주차 고추 주간 시황

2014-11-14 오후 6:15:45

경매사사진

경매사 이재욱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고추(녹광)

경매시간

22:3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11월 3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고추(녹광)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80,000 76,000 4,000
평균 52,640 43,297 9,343
최저 8,000 2,000 6,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월간 산지 날씨는 맑고 더운날씨가 지속되었으며, 비가 내릴때도 있었음.

물량수급은 원활함 

[11월 03일 ~ 11월 30일 기상전망] 

 낮동안 포근한 날이 많겠으나, 일시적으로 추운날씨를 보일때가

   있겠다고 합니다.

 ▷ 11월 10일 ~ 11월 16일

      기온은 평년(8.3˚C)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은 평년(11.0mm)과 비슷할 듯.

      -고기앞과 저기앞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음.

<청양> 

금주 산지작업은 큰 일교차로 인하여, 강원지역은 작기가 종료되었으며, 전주대비 산지작업량은 비슷하였습니다. 전라도 지역의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고, 경상도 지역도 출하량이 연일 늘어나고 있습니다.

<녹광> 

금주 녹광의 산지작업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시세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입량은 전주와 비슷한 수준 이었고, 시세 상승으로 차주 물량은 금주대비 소폭 증가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홍고추>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강원지역의 산지작업은 마무리 되었으며, 전라도 지역의 반입량이 전주와 비슷하였고, 반면 중도매인의 매기는 전주대비 증가하여 시세의 고단가 추세가 계속 이어졌습니다.

<피망>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강원지역의 산지작업은 종료 되었으며, 전라도 지역의 반입량이 증가하였습니다. 주 중반 이후 시세가 보합세를 기록중이며 산지 작황은 비슷하고 차주 작업물량도 금주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파프리카>

산지작업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강원지역의 산지작업은 약간 감소하고 진주지역의 반입이 증가하였습니다.

시장동향

<청양>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매기 회복 여파로 시세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강원지역의 반입량은 종료되었으며, 전라도 지역의 청양 및 진주지역의 햇청양의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매기 감소에서 벗어나 시세는 지속적으로 약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녹광>

녹광은 전주대비 반입량은 비슷하였으며 시세는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시세 부진에서 벗어나 전반적으로 시세가 상승하고 있으며, 차주 반입량은 금주대비 비슷하고, 차주 시세는 금주에 이어 보합세 내지 약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홍고추>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현재 강원 지역에서 출하가 종료되고, 전라지역에서 출하가 되고 있습니다. 반입량은 비슷하고 중도매인 매기는 늘어나 시세는 전주대비 상승세를 보였고 고단가 추세가 계속 유지되었습니다.

<피망> 

강원도지역의 반입량은 종료되었으며, 시세는 주 중반 이후,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중도매인은 소비부진에서 벗어나 매기가 회복되었으며, 홍피망은 반입량이 증가한 반면, 매기는 부진하여, 시세는 전주 대비 하락세를 기록하였습니다.  

<파프리카>

파프리카는 전주대비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며 시세는 전주대비 약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강원지역의 반입량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진주 및 광양지역의 출하가 시작되고, 출하량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소비는 비슷하게 이어지다가 주 중반 이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금주경매시세 <청양>

최고시세 80,000 ~ 20,000 원 / 평균시세 72,000 ~ 35,000 원 (전주대비 +10,000원 / 12% 상승)

<녹광>

최고시세 80,000 ~ 25,000 원 / 평균시세 75,000 ~ 35,000 원 (전주대비 +9,000원 / 12% 상승)

<홍고추>

최고시세 80,000 ~25,000 원 / 평균시세 78,000 ~ 33,000 원 (전주대비 +2,000원 / 3% 상승)

<피망>

최고시세 40,000 ~ 15,000 원 / 평균시세 33,000 ~ 16,000 원 (전주대비 +2,000원 / 5% 상승)

 <파프리카>

최고시세 22,000 ~ 10,000 원/ 평균시세 19,000 ~ 12,000 원 (전주대비 -2,000원 / 7% 하락)

내주 소비지전망

<고추> 

내주 소비는 청양, 녹광 등의 중도매인 매기가 회복된 상황이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는 소폭 증가하고, 차주 중도매인 구매성향은 금주대비 약간 증가한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피망>

청피망은 금주 시세가 주 중반이후 상승세였으며, 반입량은 약간 감소한 반면, 중도매인이 소비부진에서 벗어나 소비가 회복 되었고, 내주 소비는 금주와 비슷한 상태로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파프리카>

파프리카는 시세는 주 중반까지 보합세를 보이다가, 약하락세로 돌아섰으며, 소비는 전주 대비 비슷한 편으로 내주 소비관련, 중도매인의 구매성향은 금주와 비슷하고 차주 시세는 금주에 이어 약하락세 내지 보합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내주경매 시세전망 <고추>

산지 기상상태가 일교차가 커짐으로 인하여, 강원지역 녹광, 청양 등의 물량은 출하 종료되었고,전라도 및 경상도 지역의 물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시세는 매기 부진에서 벗어나 상승세로 반등하였고, 차주는 금주의 시세에 이어 약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피망>

내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반입량은 일교차가 커짐으로 인하여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시세는 중도매인의 매기가 비슷하여 보합세 내지 약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파프리카>

내주 반입량은 비슷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시세는 약하락세 내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반입량은 금주 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진주지역의 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니다. 중도매인 매기는 비슷하고 시세는 금주대비 약하락세 혹은 보합세를 기록할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