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10월 4주차 시금치,열무(단) 주간 시황

2014-10-24 오후 9:20:40

경매사사진

경매사 이강범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시금치

경매시간

20:00

전화번호

010-2065-3778

이메일

lkb@donghwafp.com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10월 4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시금치 2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42,500 45,000 2,500
평균 34,181 38,006 3,825
최저 25,000 25,000 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금주 대체적으로 맑은 날씨를 보였으며,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경기 지역(하우스) 열무,얼갈이 반입물량 감소 및 전남 지역(box시금치) 출하량 전주대비 증가하였음.

(2014년 11월 2일(일요일) 보따리 경매시간 19:00로 변경되니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시금치>

당사 출하처는 경기 포천, 남양주 지역이 75%, 전남 무안 지역이 25% 출하되고 있으며, 경기 지역(하우스) 반입물량 전주대비 증가 및 전남 지역(box시금치) 출하량 전주대비 증가하였음.

<열무>

당사 출하처는 경기 포천,남양주 지역이 40%, 고양지역이 60% 출하되고 있으며,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전주대비 반입물량 감소하였음. 

<얼갈이>

당사 출하처는 경기 포천,남양주 지역이 60%, 고양지역이 40% 출하되고 있으며,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전주대비 반입물량 감소하였음.

시장동향

<시금치>

경기 지역(하우스) 전주대비 반입물량 증가 및 전남 지역(box시금치) 반입물량 증가하였으며,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전주대비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전주대비 비슷하여 시세 보합세 형성됨.

<열무>

산지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반입물량 감소하였으며, 반입물량 감소 및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김치공장 납품량 증가로 시세 상승세 형성됨.

<얼갈이>

산지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반입물량 감소하였으며, 소비매기 주춤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감소로 시세 하락세 형성됨.

금주경매시세 <시금치>

최고시세(단당) 970원 ~ 890원 / 평균시세 850원 ~ 750원(전주대비 0원 / 0% 보합)

<열무>

최고시세(단당) 2,980원 ~ 2,700원 / 평균시세 2,600원 ~ 2,300원(전주대비 +200원 / 7% 상승)

<얼갈이>

최고시세(단당) 1,510원 ~ 1,000원 / 평균시세 780원 ~ 700원(전주대비 -20원 / 2% 하락)

내주 소비지전망

<시금치>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금주대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남 무안지역(box시금치) 출하량 증가 예상되어 가락시장 반입물량에 따른 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

<열무>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며, 산지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반입물량 감소하여 가락시장 반입물량에 따른 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

<얼갈이>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금주대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산지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반입물량 감소하여 가락시장 반입물량 따른 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

내주경매 시세전망

<시금치>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금주대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주 경기 지역(하우스) 반입물량 금주대비 비슷 및 전남 지역(box시금치) 반입물량 증가 예상되어 시세 약보합세 예상됨.

<열무>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꾸준하여 산지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반입물량 감소에 따른 시세 보합세 예상됨.

<얼갈이>

소비매기 원할한 편으로 지방시장 및 중소형마트 납품량 꾸준하여 산지 김장철 대비 작물전환 영향으로 반입물량 감소에 따른 시세 보합세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