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산지동향 |
주간 산지 날씨는 맑고 더운날씨를 보였으며 물량수급은 원활히지 못함
[9월 3째주 기상전망]
▷ 9월 22일 ~ 9월 28일
기온은 평년(23.8˚C)과 비슷하거나 높겠으며 강수량은(68.8mm) 과 비슷하거나 적을 듯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때가 많겠음
<청양>
금주 산지작업은 큰 일교차로 인하여, 산지작업이 크게 늘지 아니하였고, 전주대비 산지작업량은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습니다.
<녹광>
금주 녹광의 산지작업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반입량은 전주와 비슷한 수준 이었습니다.
<홍고추>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감소하였으며 강원지역의 홍고추 산지작업이 감소하였으며 작기 종료시게가 다가옴으로 인하여 반입량이 전주대비 감소하였습니다.
<피망>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강원지역의 산지작업이 증가하였으며 홍피망은 철원, 진주지역 등에서 산지작업이 약간 감소하였습니다.
<파프리카>
산지작업은 전주대비 증가하였으며 강원지역의 산지작업이 증가하고 반입량 또한 증가하였습니다. |
시장동향 |
<청양>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비슷하였으며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강원지역의 반입량은 비슷하였으며 전라도 지역의 햇청양이 반입되고 있는데, 매기 감소로 시세는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녹광>
녹광은 전주대비 반입량은 전주와 비슷하였으며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시세 부진으로 인해, 특품과 상품의 시세편차가 적어 졌으며, 반입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홍고추>
금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감소세를 보였으며 현재 강원 지역에서 주 출하되고 있습니다. 충청지역의 반입량은 마감을 보였으며 강원지역의 반입량은 전주와 비슷하게 가고 있습니다. 시세는 전주대비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피망>
강원도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반입량은 전주대비 증가세를 보였으며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소비부진으로 인하여 시세 저단가 형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홍피망은 반입량이 감소하고, 시세는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파프리카>
파프리카는 전주대비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시세는 전주대비 약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강원지역의 반입량은 주 출하시기 이후, 감소하고 있으며 소비는 약간 주춤 하였습니다. |
금주경매시세 |
<청양>
최고시세 55,000 ~ 8,000 / 평균시세 37,000 ~ 10,000 (전주대비 -10,000원 / 17% 하락)
<녹광>
최고시세 48,000 ~ 15,000 / 평균시세 37,000 ~ 20,000 (전주대비 -12,000원 / 25% 하락)
<홍고추>
최고시세 37,000 ~ 8,000 / 평균시세 33,000 ~ 15,000 (전주대비 +2,000원 / 7% 상승)
<피망>
최고시세 48,000 ~ 25,000 / 평균시세 45,000 ~ 25,000 (전주대비 -30,000원 / 45% 하락)
<파프리카>
최고시세 32,000 ~ 7,000 / 평균시세 29,000 ~ 20,000 (전주대비 +2,000원 / 6% 상승) |
내주 소비지전망 |
<고추>
금주 소비는 추석 연휴 이후, 중도매인 매기 감소로 인해 소비는 증가하였고 차주 중도매인 구매성향은 금주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피망>
청피망은 추석연휴 이후 시세가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기록 중이며, 반입량 증가와 소비부진으로 시세가 하락하였으며 내주도 소비는 금주와 비슷하게 하락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파프리카>
파프리카는 시세는 약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는 비슷한 편으로 내주 소비도 중도매인의 구매성향은 비슷하고 시세는 하락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내주경매 시세전망 |
<고추>
산지 기상상태가 일교차가 커짐으로 인하여, 반입량의 차이는 금주와 비슷할 것으로 보이며 강원지역의 녹광, 청양 고추의 반입량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세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피망>
내주 반입량은 전주대비 반입량은 비슷할 것으로 보이며 시세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파프리카>
내주 반입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시세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강원도지역을 중심으로 반입량이 증가가 예상되며 시세는 금주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