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과일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과일

12월 2주차 감귤 주간 시황

2017-12-09 오전 4:40:53

경매사사진

경매사 박상무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귤(조생)

경매시간

02:00

전화번호

010-7285-2004

이메일

psm2004@donghwafp.com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12월 2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귤(조생)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20,000 16,500 3,500
평균 11,982 10,516 1,466
최저 4,500 3,500 1,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제주지역 주초 평년대비 기온하락을 보인 후 주중이후 영하권을 보이고 아침 저녁으로 일교차가 큰 기온차이를 보이며 체감온도는 낮음. 주 후반 일시적으로 영상권으로 기온이 오르고 국지적으로 눈이나 비가 내린지역도 있음.

<귤(조생) 5KG/10KG >     

주출하지역 : 제주지역(100%) 에서 출하중.     

출하동향/작황상태 : 주초 전주대비 산지 작업량은 증가하였고, 같은시기 시장 반입물량 또한 확대되었으며, 작황상태는 양호함. 주중이후 대학수능시험과 가락시장 전체적인 시세하락으로 인하여 제주지역 출하량 조절중이며 극조생품종 완만하게 작업량 감소한 반면 상품성 좋은 조생품종 출하량 확대중임.

시장동향

<귤 5KG/10KG>

물량/재고량 : 반입 물량 348톤(전주대비 -27톤 감소)

주초 가락시장 감귤 시세상승으로 제주지역 감협 및 개인수집상 위주로 출하물량 증가하였으나 제주지역 착과수 감소로 예전대비 소폭 감소함. 주중이후 중도매인 발주량 감소와 소비침체 등으로 전반적인 시세하락 및 재고증가하고 주말까지 소비침체로 시세반등이 어려움.

유통현황: 중소형 마트 위주 거래처 발주량 증가와 더불어 반입물량 증가현상 이어지면서 경매참여도가 높은 반면 외식업체/식자재  발주량 약감소 후 주중반 증가세로 전환되고 있음.

금주경매시세<귤(조생)5kg  

최고시세: 시세 17,000 ~ 12,000원

평균시세: 시세 8,500원 ~2,000원 형성

전주대비(평균시세대비):  +1,024(원) / +11.8(%)  상승세

<귤(조생)10kg>

최고시세: 시세 20,000 ~ 13,000원

평균시세: 시세 12,000원 ~5,000원형성

전주대비(평균시세대비):  +1,466(원) / +12.1(%) 상승세

* 금주 중도매인 주초 재고량 증가와 발주량이 소폭으로 감소한 후 주중이후 중도매인 발주량 증가로 인한 소비매기 활성화로 전반적인 시세는 상승세를 나타냈음. 금주 큰폭의 시세 등락폭보다는 주초부터 완만하게 상승분위기를 이어간 후 주말장에 보합세를 유지함

내주 소비지전망<귤(조생) 5KG/10KG>

유통전망:  전체적인 소비는 전주대비 증가하고 식자재 및 중소형마트 위주로 바이어상담 증가와 더불어 구매량 증가로 인하여 시세는 약보합이상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발주량에 비해 반입량이 완만하게 감소에 따른 반사효과로 인하여 조생품종 반입물량 증가될 것으로 판단됨.

내주경매 시세전망<귤(조생) 5KG/10KG >

물량 : 제주지역 산지수집상 전매로 인한 지방분산 출하중인 반면 감협이나 작목반 위주 반입물량은 지속되고 있음. 11월 2주차 대비 반입물량은 비슷하거나 증가로 예상됨.

시세 : 전주 후반부와 마찬가지로 소비시장의 활성화 및 중도매인 재고량 소진이 꾸준함으로 시세는 보합세 및 약상승세를 전망하고 있으며, 타 청과와 대비하여 10k는 적정시세 이상으로 판매하고 있으나, 5k는 품위에 따라 시세등락폭이 다소 있을것 으로 전망됨.

경매사 제공정보

<귤(조생)>  

극조생품종 작업종료 후 조생과 타이벡위주로 반입되고 타이벡작업품종은 당산비 등 상품성에 따라 시세형성에 영향이 큼.  현재 제주도에서는 재배면적 감소로 인하여 전년대비 시세상승 기대감이 크나 시장분위기는 다소 침체되고 있으나 12월에는 바이어 구매비율 확대와 중도매인 타이벡 판매영업 증가로 적정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