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채소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채소

08월 2주차 파,옥수수,두류 주간 시황

2018-08-11 오전 1:11:18

경매사사진

경매사 이승훈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쪽파(BOX)

경매시간

19:00

전화번호

010-8480-5786

이메일

pollee69@naver.com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8월 2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쪽파(BOX)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15,000 86,000 29,000
평균 39,934 27,178 12,756
최저 6,000 10,000 4,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 산지 폭염으로 물량 수급 다소 부진 하였음.

<대파>

주출하지역 : 경기(고양,남양주,이천,포천)80%,강원(평창,철원)20%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음.

출하동향 및 작황상태 : 폭염 지속으로 생육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 추세

기후 : 산지 폭염으로 물량 수급 다소 부진 하였음.

<쪽파>

주출하지역 : 충남(당진)60%,(예산)40% 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음.

출하동향 및 작황상태 : 폭염으로 상품성 하락 하였으나 고단가 시세 형성으로

출하량 증가 추세.

시장동향

<대파>

물량/재고량 : 금주 당사 물량 249.6톤 반입(전주대비 +50.1톤 증가)

주초 우천 영향으로 기온 소폭 하락 및 영업일수 증가로 전주대비 반입량 증가 하였으나

타품목 대비(쪽파,실파) 저렴한 시세 형성으로 인한 수요 증가로 매기 상승 하여 시세

급등세 형성 함.

유통현황 : 관공서 및 학교 식자재 납품량 증가 하였으며 소비 원활 하여 직판장,

중소마트, 대형마트, 지방시장 납품 증가.

<쪽파>

물량/재고량 : 금주 당사 물량 깐쪽파 1,017박스, 흙쪽파 1,124박스 반입

(전주대비 깐파 -230박스 감소, 흙파 +290박스 증가)

전주대비 반입량 비슷 하였으나 영업일수 대비 반입량은 폭염으로 인한 생육 부진으로

소폭 감소함. 대체 품목인 근교 쪽파,실파의 반입량 감소와 소비 원활로 시세 상승세

형성 됨. 폭염으로 인한 품질 저하로 고품질의 경우 시세 큰폭으로 상승.

유통현황 : 관공서 및 학교 식자재 납품량 비슷 하였으며 소비 원활 하여 직판장,

중소마트, 대형마트, 지방시장 납품 증가.

금주경매시세

<대파>

최고시세 : 2,000원 ~ 2,160원

평균시세 : 1,400원 ~ 1,53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 +400(원) / +35.3(%) 상승세

<쪽파>

최고시세 : 깐파 160,000원 ~ 187,000원

흙파 110,000원 ~ 115,000원

평균시세 : 깐파 70,000원 ~ 74,000원

흙파 37,000원 ~ 40,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 깐파 +10,000(원) / +13.5(%) 상승세

흙파 +12,500(원) / +46.2(%) 상승세

내주 소비지전망

<대파>

유통전망 : 일부 학교 개학으로 학교 및 관공서 납품량 소폭 증가 하겠으며 말복으로

인한 소비 촉진으로 지방,중소, 대형마트등 주문량 비슷 예상.

<쪽파>

유통전망 : 일부 학교 개학으로 학교 및 관공서 납품량 소폭 증가 하겠으며 말복으로

인한 소비 촉진으로 지방,중소, 대형마트등 주문량 비슷 예상.

내주경매 시세전망

<대파>

물량 : 시세 상승세 형성 및 우천영향으로 기온 소폭 하락하여 출하량 증가 예상 됨.

시세 : 말복 및 학교 개학등 소비 소폭 증가하여 시세 보합세 예상 됨.

<쪽파>

물량 : 시세 상승세 지속 및 기온 소폭하락으로 작업량 증가하여 반입량 증가 예상 됨.

시세 : 대체품목의 출하량 증가로 소비 부진하여 시세 하락세 예상 됨.

경매사 제공정보

[농민신문]

농산물 수급조절 매뉴얼 개정

겨울대파·배·풋고추(청양계) 추가해 대상품목 8개로 확대

농산물 위기구간별 경계값 10년 치 도매가격 추이 반영

경계값 기준도 상품가격 대신 거래단가 적용…대표성 높여

월별 수급점검 매뉴얼 신설

정부가 농산물 수급조절 품목에 겨울대파·배·풋고추(청양계)를 추가했다. 기존 배추·무·건고추·마늘·양파 5개 품목에다 3개 품목을 더 늘린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를 열어 농산물 수급조절 매뉴얼을 이렇게 개정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농산물 수급조절 매뉴얼은 가격 변동성이 큰 주요 농산물의 도매가격을 7개 위기구간으로 구분하고, 현 시세와의 비교를 통해 수급대책 시행 여부 등을 체계적으로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

주요 개정내용을 보면 우선 위기단계 구간의 경계값을 설정할 때 최근 10년 치 도매가격 추이를 반영토록 했다. 아울러 가락시장 ‘상(上)품 가격’ 대신 총 거래금액을 거래물량으로 나눈 ‘거래단가’를 적용해 가격 대표성을 보완했다. 그동안 경계값은 7년간 도매가격 평균값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적용해 결정됐는데, 농업계로부터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기존 노지채소류 중심에 과일·과채류를 신규 수급조절 대상품목에 추가한 것도 특징이다. 농식품부는 “5대 노지채소 중심의 수급관리에서 수급불안이 반복돼온 겨울대파·배·풋고추(청양계)에 대해서도 수급관리 기준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사전 면적조절 매뉴얼도 새로 만들었다. 이를 통해 파종이나 아주심기(정식) 이전 품목별·작황별 적정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미리 예시해 사전적 수급대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월별 수급점검 매뉴얼을 신설, 매월 관련 기관이나 단체가 점검·조치해야 할 사항을 지침으로 만듦으로써 평상시 사전 수급상황 점검기능을 강화했다고 농식품부는 강조했다.

일례로 배추에 대한 7월 각 기관별 점검사항을 보면 우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준고랭지 1기작 배추와 고랭지배추 작황·출하 예측을 담당한다. 준고랭지 2기작과 가을 및 겨울배추 재배의향 면적 예측도 이 시기에 이뤄진다.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봄배추 비축물량 운용과 고랭지배추 비축을 시작한다. 고랭지배추 계약재배 물량 출하조절과 면적조절은 농협의 점검사항이다. 고랭지배추 작황관리나 아주심기 지도는 농촌진흥청이 맡는다. 농식품부는 이때 준고랭지 1기작 배추 시장격리나 비축물량 방출을 판단하게 된다.

서준한 농식품부 원예산업과장은 “농산물값 안정을 위해 수급조절 매뉴얼을 개정해 시행에 들어갔다”며 “사전 면적조절 매뉴얼과 월별 수급점검 매뉴얼을 신설해 사전적 수급관리 기능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성홍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