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산지동향 |
기후: 주산지 일조량 증가 및 기온 상승으로 생육 원활하여 물량 수급 원활한 주였음.
<일반토마토5kg>
주출하지역: 전라(장수,임실,화순,부안,보성)40%,경상(경주,함안,부산,창원,마산)30%,
충청(부여)20%,강원(춘천)7%,경기(수원)3% 출하됨.
출하동향/작황상태:지역별 일조량 및 기온 상승으로 생육 원활하여 작업량 증가하였고,
경상 일부 지역을 제외한 타 지역 상품성 품위 상승된 고품위 물량 증가로 지역별
변동폭이 큰 고품질(90%),상~하품(10%) 출하됨.
<방울5kg/대추토마토3kg>
주출하지역:충청(논산,부여,예산)40%,전라(담양,보성,고흥,보성)30%,경상(진주,함안)20%,
강원(춘천)10% 출하됨.
출하동향/작황상태:지역별 일조량 및 기온 상승으로 생육 원활하여 작업량 증가하였고,
경상 일부지역을 제외한 상품성 품위 상승된 고품위 물량 증가로 지역별 변동폭이
큰 고품질(80%),상~하품(20%) 출하됨 |
시장동향 |
<일반토마토>
물량/재고량 : 반입 물량 141톤 (전주대비 +19톤 증가)
중도매인 소비매기 부진하여 재고량 증가 및 시장내 반입량 증가로
전주대비 하락세 형성
유통현황: 거래처 발주량 대비 반입물량 증가 및 제철과일과 수입과일 또한 반입량 증가
지속으로 인해 전체 유통업체별 감소 현상보여졌으며,<동양종/유럽종>
전체적인 소비 감소현상 보였던 주였음.
<대추/방울토마토>
물량/재고량 : 반입 물량 99톤 (전주대비 +10톤 증가)
중도매인 소비매기 부진하여 재고량 증가현상보였으며, 품종별 대추,방울형토마토
상품성 품위에 따라 시세 등락폭이 컸으며, (방울:하락/대추:하락) 대체적으로
시장내 출하되는 품종별 반입량에 따라 구매 등락폭 크게 나타나는 주였음
유통현황: 거래처 발주량 대비 반입물량 증가 및 제철/수입과일 반입량 증가로 인해
전체 소비 감소현상보였으며, 편의점,온라인,외식업체/식자재 발주량 보합 및
백화점/마트 발주량 감소함에 따라 유통업체별 전체 품종별<대추/방울> 발주량
대비 경쟁구매 상승폭이 컸던 주였음
* 주초부터 시작된 연이은 수도권 우천영향으로 인한 토마토 재고 증가 및 제철과일
(수박,참외,복숭아,자두,포도등) 또한 증가로 인한 제철과일 대비 전체 유통업체
토마토 발주량 급감소 보였던 주였음. |
금주경매시세 |
<일반토마토5kg>
최고시세 : 10,000 ~ 9,000(원)
평균시세 : 7,000 ~ 6,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대비) : -197(원) / -0.98(%) 하락세
<방울토마토5kg>
최고시세 : 14,000 ~ 10,000(원)
평균시세 : 9,000 ~ 6,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대비) : -1,342(원) / -13.57(%) 하락세
<대추토마토3kg>
최고시세 : 15,000 ~ 9,000(원)
평균시세 : 8,000 ~ 6,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대비) : -992(원) / -10.27(%) 하락세 |
내주 소비지전망 |
<일반토마토>
유통전망: 전체적인 소비는 전주와 동일한 전체 유통업체별 발주량 감소현상 나타날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외식업체,편의점,온라인을 제외한 백화점,마트등 주문량
감소현상 이어질 것으로 전망
<대추/방울토마토>
유통전망: 소비동향 점차 감소 예상되며 시장내 전 분산처 주초를 시작으로 주문량 감소,
온라인,편의점,외식업체를 제외한 대형마트,백화점등 발주량 감소로 전품종 전주와
동일한 패턴 이어질 것으로 전망 |
내주경매 시세전망 |
<일반토마토>
물량 : 내주 주 출하지역 낮 기온 상승 및 일조량 증가 예보로 생육 원활하여 물량은 전주
대비 증가현상 보여질 것으로 예상.
시세 : 전체적인 소비 매기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전체 유통업체별 제철,수입과일에
밀려 발주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져 시세는 보합~하락세 전망
<대추/방울토마토>
물량 : 내주 주 출하지역 낮 기온 상승 및 일조량 증가 예보로 생육 원활하여 물량 전주 대비
증가현상 보여질 것으로 예상.
시세 : 전체적인 소비 매기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전체 유통업체별 제철,수입과일에
밀려 전체 발주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져 시세는 보합~하락세 전망 |
경매사 제공정보 |
<다가오는 하절기 낮 기온 상승에 따른 숙기 조절 및 고단가 형성 tip>
본격적인 기온 상승 및 일조량 증가현상으로 인한 생육원활 및 숙기 증가로 지역별 및
농가별 가격 편차가 크게 벌어지는 현상발생. 봄철과는 달리 저장성(70%),당도(30%)에
결정되는 점을 감안 1차 경도,색택,신선한 꼭지/2차 당도,동일한 크기,모양으로 작업하시길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