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과일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과일

01월 4주차 사과 주간 시황

2017-01-27 오전 4:49:58

경매사사진

경매사 김용화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사과(미시마)

경매시간

08:3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1월 4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사과(미시마)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45,000 42,000 3,000
평균 24,088 22,885 1,203
최저 18,000 3,000 15,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기후 : 금주 접어들며 영하권의 날씨 지속되며, 주 후반 많은 눈내림으로 인하여 산지별로

        작업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미시마 10kg/5kg>

주출하지역 : 경북 영주(50%), 문경, 상주(30%), 의성(20%)

출하동향/작황상태: 재배면적 전년대비 감소, 주산지 작황호조로 저장사과 물량감소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작업량 감소로 인하여 중상품위 위주 물량 반입중임.

<부사 10kg/5kg>

주출하지역 : 경북 영주(50%), 안동(30%), 문경, 의성(20%)

출하동향/작황상태: 금년 강수량이 적고 푹염 등으로 가뭄이 지속되어 작업량은 증가하나 작황은 예전에 비해 색깔 등이 다소 미진하나 물량은 증가하고 있음

시장동향

<미시마 10kg/5kg>

물량/재고량 : 반입물량 27톤(전주대비 -30톤 감소)

  선물용/제수용 5k물량 반입 감소하였으며,  소비시장의 악화로 인하여 재고량 소비 미진함.

유통현황 : 관공서, 대형음식점 등 약증가 되나 학교 등 식자재업체 학교급식업체 발주량 감소로 물량 축소되고 중소형마트, 백화점 등 납품 소비위축으로 발주량 감소로 위하여 전주대비 약감소  

특기현상: 금년 사과물량 공급이 수요 초과되면서 물량증가, 소비침체 등으로 재고증가.

 <부사 10kg/5kg>

물량/재고량 : 반입물량 43톤(전주대비 -260톤 감소)

   선물용/제수용 5k물량 반입 대폭 감소로 인하여 반입물량 증가되었으며, 꾸준하게 발주량을 보이고는 있으나 소비시장의 악화로 인하여 재고량 소비 미진함.

유통현황 : 대형음식점, 식자재 납품업체 발주량 증가로 중도매인 재고감소하고 학교급식업체, 유통관련 소비동향 위축으로 다소 감소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백화점, 마트 판매량은 전주대비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음.

특기현상: 유색계열 사과물량 공급이 공급대비 수요초과로 반입물량 증가와 소비활성화

   로 재고감소

금주경매시세

<미시마 10kg> 

최고시세 : 45,000~30,000원

평균시세 : 24,088~18,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 +1,203(원)/ +5(%) 상승세

<미시마 5kg> 

최고시세 : 30,000~25,000원

평균시세 : 12,688~5,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 +3,448(원)/  +30(%) 상승세

<부사 10kg>

최고시세 : 40,000~25,000원

평균시세 : 21,044~4,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 -66(원)/  -0.3(%) 보합세

<부사 5kg>

최고시세 : 33,000~20,000원

평균시세 : 13,379~4,000원

전주대비(평균시세기준) : +756(원)/  +5(%) 상승세

* 전주 대비 반입물량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시세는 반입물량 감소의 이유로 상승폭을 보였으나 작년 추석대비 시세는 약세를 형성함. 소비시장의 위축으로 인하여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하고 있으며, 당사 청송지역 경매 물량 및 정가수의매매를 통하여 평균단가 상승하려 산지와 협의중.

내주 소비지전망

<사과>

유통전망: 10k 물량 꾸준하게 반입될 것으로 보이며, 중도매인 발주량 또한 꾸준하게 이어질 것으로 에상.

내주경매 시세전망

<사과>    

물량 : 당사 주 산지 10k물량으로 전환되어 반입될 것으로 보임.

시세 : 금주 경매분위기와 비슷할 것으로 보이며 주산지 중상품위 물량 소화하기 위해 출하량 확대로 보합 또는 약상승세가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