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산지동향 |
주산지 주초반 낮은 기온으로 작황환경 좋지 못하였으나, 주중반 이후 기후조건 양호 하였고 물량 수급 원활하였음.
<일반토마토 5kg/10kg>
강원 춘천/서울 송파구/충북 진천/전남 담양,순천/전북 임실/경남 진주지역에서 주 출하되었으며, 물량 전주 대비 증가 하였음.
<대추형토마토 3kg/방울토마토 5kg>
충남 부여,논산,예산,충주/강원 춘천/충북 음성,진천/전남 담양지역에서 주출하되었으며, 물량 전주 대비 감소현상 보였음. 방울토마토의 경우 주산지 작업량이 크게 감소하여 물량 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음.
*지속적인 시세 하락 및 기온악화(눈,영하권) 커 작업량 감소 현상 발생하였으며, 주 산지
전체적인 지방시장대비 시세 지속적인 저단가 형성으로 일부 출하처 지방출하로 출하하는
출하처 증가 현상 지속 발생(강원고랭지 토마토 작업종료하는 출하처 크게 증가하는 주였음) |
시장동향 |
<일반토마토 5kg/10kg>
전주대비 반입량 증가로 시작하여 주중반 이후 물량 증가하였음. 중도매인 재고 누적율 주 초반 증가하였으나 주중반 소비동향 약상승하였으나 타 품목 수요도 증가로 매기 저하되었으며,
당사 전라권,경상권<2차정식>지역 재배물량도 전주대비 약감소 하였고, 시세 지방시장대비 저단가 형성으로 지방시장 물량 증가 추세였으며, 반입량은 약증가 하였음.
<대추형토마토 3kg/방울토마토 5kg>
거래처 발주량 증가, 반입량 또한 전주대비 약감소하였고, 거래처 발주량 증가 및 소비동향 상승으로 인해 지역별 출하되는 품종별에 따라 시세 등락폭이 컸으나 시세 전반적으로 상승세 형성하며 장마감함.
*품종별 발주량 등락폭이 컸고, 주산지 큰 일교차로 시장 전체적인 반입량 대비 납품처 발주량 증가하여 소비동향 증가하는 현상 보였음.
*주산지 전체적으로 일조량 감소 / 기온하락으로 지역별 기온차가 심하여 전체적인 지역별
변동이 심한 기상으로 상품성 저하되는 상품 증가하고 있으며, 최대한 숙기조절<색깔,당도>
특히 하절기시와는 달리 동절기에는 기온하락으로 무름발생하는 현상 감소하는 시기로
최대한 색깔,당도 상승에 매진하여 경매종료후 거래처 납품시 반품되는 일이 없도록 작업을 요함 |
금주경매시세 |
<일반토마토 5kg>
최고시세 14,000원~11,000원/평균시세 8,000원~6,000원(전주대비 -177원 /1.2% 하락)
<방울토마토 5kg>
최고시세 23,000원~20,000원/평균시세 17,000원~15,000원(전주대비 +2,092원 /16.5%상승)
<대추형토마토 3kg>
최고시세18,000원~16,000원/평균시세 11,000원~9,000원(전주대비 +1,111원 /13.2% 상승)
전주대비 주초 반입량 감소 후 주후반 약증가로 마감했으며, 일반토마토를 제외하고 발주량 대비 반입량 감소로 시세 큰폭으로 상승함. 토마토 소비자들에게 기후에 민감한 품목으로써 기온하락시작으로 인해 마트 행사를 제외한 지속적인 기온 하락으로 큰 소비동향 없었으며, 특히 제철과일에 밀려 큰 오름세 없이 고전)
*가락시장내 지속적인 반입량 감소현상 보여지고 있으며, 반입량 거래처 발주량 대비
감소임에도 불구하고 재고 누적으로 소비동향 감소하여 시세 전체적으로 보합~하락세
형성하였던 주였음 |
내주 소비지전망 |
<일반/완숙/방울/대추토마토 3~5kg/10kg>
연말 시즌으로 인해 식자재 발주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매기 또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제철과일 발주량 증가로 반입량에 따라 내주 소비동향 변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토마토 전체적인 반입량 약증가 및 거래처 발주량 증가로 시세 상승세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
( 제철과일 감귤,단감,딸기등 조기 출하 및 소비 증가로 토마토 또한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반입량 및 매기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짐. ) |
내주경매 시세전망 |
<일반/완숙/방울/대추토마토 3~5kg/10kg>
주 산지 작업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강원 고랭지지역 기온하락으로 생육부진으로 작업
종료 출하처 증가할 것으로 보여짐. 변덕스런 기후변화로 인해 생육부진하여 출하 지연되는 현상 보일 것으로 보이며,지속적인 지방시장 대비 시세 저하로 지방으로 쏠림현상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반입량은 약증가하고 소비동향은 증가 / 시세 보합세~약상승세 형성 전망
*지속적인 기온하락시 주산지 작업량 감소예상되며, 중도매인 거래처 큰 발주없는 소량의
발주량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중도매인 거래처 발주량 대비 반입량 감소임에도 불구하고
시세 하락세 형성 유지 지속중임.
현 제철과일(감귤,단감,딸기) 출하처 물량 증가로 제철과일 대비 토마토 소비 반입되는
출하량에 따라 소비동향 및 시세 등락폭이 클 것으로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