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과일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과일

12월 1주차 감귤 주간 시황

2014-12-06 오전 4:33:06

경매사사진

경매사 신성오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경매시간

02:0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12월 1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귤 10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25,000 22,000 3,000
평균 9,658 8,673 985
최저 2,000 2,000 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주산지별 호우와 눈 등 날씨영향으로 일조량이 감소로 수확작업이 저하되었으며 극조생과 조생품종 반입으로 금주는 주초부터 주후반까지 큰변동 없이 물량이 일정하게 들어왔음. 현재는 90%이상이 조생귤이 반입되고 있음.

<귤 5kg>

제주감귤 서귀포 신효작목반, 산지유통인 등이 주 출하 중에 있으며 주초 반입량 전주와 비슷한 수준 유지하다 주중반 이후 우천소식으로 작업량 감소하였으며 주후반 까지 이어짐. 상품성제고를 위해 5kg단위로 포장된상품이 주를 이룸.

* 극조생 작업은 마무리되었으며, 현재는 조생종위주로 작업하고 있음.

 <귤 10kg>

제주시, 서귀포시 등 농협, 영농조합 및 산지유통인을 통해 골고루 출하되고 있으며 반입물량이 주초에는 큰폭 증가후 주중부터 큰변동없이 일정하게 반입됨. 작황호조에 따라 본격적으로 감귤 품종 중 조생의 작업이 활발하고 일조량증가에 따른 향후 시세하락에 대비하여 요일별 분산출하를 유도할 필요성이 있음.

시장동향 <귤 5kg>

금주 시장동향은 선별작업과 경매는 비교적 원활하게 진행되었고, 반입물량이 전주대비 평균적으로 감소함과 동시에 중도매인 발주량 및 소매인 주문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매기 저하로 인하여 주초 큰폭으로 하락 후 주중반 물량 감소로 인한 시세반등으로 상승폭 유지하여 주후반 장마감함. 등급별 선별과 당도 등 우수한 상품이 주를 이루지만 일부는 청기 등이 다소 있었음. 금주는 전주대비 물량감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하락하였음.

 <귤 10kg>

시장내 반입물량은 감귤 품종 중 조생종 작업이 활발하며 12월 초순이후 본격적으로 수확작업이 진행되고 금주 주초부터 반입물량이 일정하게 반입된 반면 소비처의 주문과 판매처 발주량의 증가로 주초반 약하락세 유지하였으나 주후반에 물량조절 등으로 반입물량이 감소와 더불어 소비동향 증가하여 시세 상승세로 장마감함..

* 금주는 주초부터 영하권날씨 등 강추위로 소비매기가 중도매인 판매가 원활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거래가 주춤함.

금주경매시세 <귤 5kg>

최고시세 10,00원 ~ 8,500원 / 평균시세 8,000~7,000원 (전주대비 -109원 / 2.4% 하락

주산지별 우천으로 인한 반입량 증감 발생과 하품위 상품 반입으로 시세하락세 형성됨.

<귤 10kg>

최고시세 25,000원~23,000원 / 평균시세 10,000원~8,000원(전주대비 +986원 /10.7% 상승)

전주 대비 고품위 상품 반입과 10kg포장 단위 선호도가 높아 시세는 상승세 형성하였으나, 상품 품위에 따른 시세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남.

내주 소비지전망 <귤 5kg/ 귤 10kg> 

감귤품종의 적기는 12월부터 본격 출하되기에 내주 반입물량은 완만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주산지 일조량 증가와 금년 타 품종과 마찬가지로 작황호조로 산지는 재고물량이 풍부함. 이에 따라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면서 시장에 과도하게 출하되고 있는 실정임. 산지별 타 지방시장 등 출하처를 분산시키고 출하물량 조절 등으로 일시적인 물량증가보다는 완만하게 증감이 교차할 것으로 예상됨.

내주경매 시세전망

<귤 5kg/ 귤) 10kg> 

내주 경매시세는 주중반 강추위가 풀리면서 과일류 위주로 소비가 되살아 날 것으로 보이며 반입물량의 급격한 증가만 없으면 시세는 금주대비 상승세를 형성할 것으로 판단됨.  또한 산지에서 어느정도 물량조절 등으로 반입물량이 감소되면 주초는 소비매기 활성화로 상승기조, 주중은 재고분 여유로 보합 및 주말에는 어느정도 등락이 있을것으로 보이지만 그 폭은 완만하게 교차할 것으로 예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