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과일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과일

10월 4주차 포도 주간 시황

2014-10-25 오전 6:46:30

경매사사진

경매사 신성오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포도(거봉)

경매시간

02:0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10월 4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포도(거봉) 2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9,000 10,000 1,000
평균 5,058 5,444 386
최저 3,000 3,000 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금주기상은 일부 소식 우천으로 인하여 작업환경 좋지 않았으며, 전형적인 가을날씨로 일교차가 크게 발생함. 기온이 내려가는 시기로 포도 상품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작업 마무리 시점으로 물량은 전 주 대비 감소 하고 있음. 

<캠벨 5kg/ 거봉2kg>

충청북도 (영동) 경상북도 (김천,영천,상주), 경기(안산), 충남(천안)에서 물량이 주를 이루면서 꾸준히 출하 되었고, 특히 상주지역 및 영천지역 물량이 금주에도 지속적으로 반입되고 있으며, 주간 반입물량은 주산지 작업 마무리 시점으로 반입량 주초부터 감소 되었고, 주중 전국적인 우천소식으로 반입량 급감소하였음. 주중~주후반 또한 작업물량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음. 산지 작황호조에 따라 물량이 수요를 크게 넘어서면서 분산출하 필요성이 대두됨.

시장동향

<캠벨 5kg>

산지 작업 종료 시점으로 인해 물량 반입 점차 감소 되고 있으나, 감소폭이 크게 발생하지 않게

분산출하 유도하고 있음. 시세는 물량 증감폭에 관계없이 완만하게 형성되고 있으며, 제철과일

반입량이 점차 증가 하고 있어 타 품목 증감폭에 따라 시세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주초부터 시장매기 저하되고 중도매인 납품처 발주량 감소로 인해 시세 약하락세 형성되었음. 주중이후 우천으로 인한 시장내 전체 품목 물량 감소하였지만 포도 품목은 크게 영향받지 않은 관계로 수요심리 상승하여 시세 상승세 형성하였지만 주후반 타 품목 물량 증가로 인해 시세 약하락세로 장

<거봉 2kg>

충남 천안 및 경북 김천 영천 등 지역에서 씨알굴기 정도, 당도 등 소비자 선호가 높은 상품이 주를 이루었고, 시기상 소비동향의 저하로 중도매인과 소매인의 구매력이 감소되면서 주초 부터 시세 하락하였음. 주중반 산지별 반입물량 약감소하여 시세 약증가하였으나 주중이후 산지 물량조절로 인해 시세 약하락장으로 장마감함. 금주는 등락폭이 크지않고 완만한 시세형성 변화를 보였음.

※ 포도 품목은 작업 종료 시점으로 반입 증감폭은 완만하게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기온의 영향으로 무름과 및 홍과 등 하품위 상품의 반입이 다소 늘고 있음. 상품 품위와 더불어 중도매인 발주량이 감소 하고 있는 추세로 시장매기는 지속적으로 저하 될 것으로 예상됨.

금주경매시세

<캠벨 5kg>

최고시세 16,000원 ~ 14,000원 / 평균시세 11,000원 ~10,000원 (전주대비 -661원 / 5.8%하락) 

금주 최고시세는 전주 대비 상품성이 저하되어 하락 및 평균 시세는 시장매기 약저하되어 

약 하락세 형성됨. 

<거봉 2kg> 

최고시세 9,500원 ~ 9,000원 / 평균시세 5,500원 ~ 4,500원 (전주대비 -386원 / 7.1% 하락)

금주 최고시세는 수요 심리 감소하여 시세 하락 및 평균 시세 또한 소비동향 부진으로 시세 하락 함.

내주 소비지전망

<캠벨 5kg/ 거봉2kg> 

금주 조석은 15도 이하, 주간은 20도로 포도 작황환경이 좋지 않음. 포도 뿐만 아니라 전 품목이 작황호조로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면서 시장에 과도하게 출하되고 있는 실정임. 산지별 타 지방시장 등 출하처를 분산시키고 출하물량 조절 등으로 일시적인 물량증가보다는 소폭단위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함.

내주경매 시세전망

반입물량은 전주대비 주초는 주말작업 물량으로 산지 재고는 증가하나 반입물량은 조절되어 평균을 유지하며, 주중부터는 분산출하 되면서 시세는 하락과 상승을 반복되기도 하지만 급격한 시세변화는 없을것으로 판단됨. 담주 특별한 우천예보가 없으며 이에 따라 반입물량이 어느정도 조절된다면 주초에는 하락하겠지만 주중이후로 시세는 상승기조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