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산지동향 |
주산지 지역별 변동이 심한 기후변화로 물량 수급 부진한 상황.
<일반토마토 5kg/10kg>
강원 춘천,철원,양구,홍천,인제,태백/서울 송파구/충북 음성/충남 부여지역에서
주 출하되었으며, 물량 전주 대비 약증가현상 보였음
<대추형토마토 3kg/방울토마토 5kg>
충남 부여,논산,예산,충주/전북 익산/강원 춘천,홍천,인제/충북 음성,진천지역에서
주출하되었으며, 물량 전주 대비 약증가현상 보였음
*지속적인 시세 하락 및 밤낮기온차가 커 작업량 감소 현상 발생하였으며, 주 산지 전체적인
지방시장대비 시세 지속적인 저단가 형성으로 일부 출하처 지방출하로 출하하는 출하처
증가 현상 지속 발생 |
시장동향 |
<일반토마토 5kg/10kg>
전주대비 반입량 감소하기 시작하여 주후반까지 이어지면서, 일교차로 인한 작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하였음. 또한 재고 누적 발생율 감소하였고 당사 강원권,전라권,충청권<2차정식>지역 재배물량은 증가 추세이나, 시세 지방시장대비 저단가 형성으로 지방시장 물량 증가 추세였으며, 반입량 감소현상 보였음.
<대추형토마토 3kg/방울토마토 5kg>
거래처 발주량 증가, 반입량 전주대비 감소하였고, 거래처 발주량 증가 및 반입량 감소로 인해지역별 출하되는 품종별에 따라 시세 등락폭이 컸음
*품종별 발주량 등락폭이 컸고, 주산지 밤낮기온차가 커 시장 전체적인 반입량 감소로
소비동향 감소하는 현상 보였음.
*금주 징검다리 연휴영향으로 시장 전체적인 소비동향 감소현상 보여주었던 주였음.
주산지 전체적으로 일조량 감소 / 기온하락으로 지역별 기온차가 심하여 전체적인 지역별
변동이 심한 기상으로 상품성 저하되는 상품 증가하고 있으며, 최대한 숙기조절
<색깔,무름,당도>하시어 경매종료후 거래처 납품시 반품되는 일이 없도록 작업을 요함 |
금주경매시세 |
<일반토마토 10kg>
최고시세 26,000~20,000/평균시세 13,000~11,000(전주대비 박스당 -6,197원 /30.2% 하락)
<방울토마토 5kg>
최고시세 15,000~13,000 / 평균시세 9,000~7,000(전주대비 -776원 / 8.6% 하락)
<대추형토마토 3kg>
최고시세 17,000~14,000 / 평균시세 10,000~8,000(전주대비 +655원 / 8.5% 상승)
전주대비 반입량 감소하기 시작하여 주후반까지 이어졌으며, 거래처 발주량 감소 시작으로
재고 누적 발생율 증가하였고, 소비동향 전주에 이어 감소현상 보였던 주였음. 품종별에 따라
소비동향 감소/증가현상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지역별 시세 등락폭이 컸음.
토마토 소비자들에게 기후에 민감한 품목으로써 기온하락시작으로 인해 마트 행사를 제외한
지속적인 기온 하락시까지 큰 소비동향 없었을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제철과일에 밀려
큰 오름세 없이 고전)
*가락시장내 지속적인 반입량 감소현상 보여지고 있으며, 반입량 거래처 발주량 대비
감소임에도 불구하고 재고 누적으로 소비동향 감소하여 시세 전체적으로 보합~하락세
형성하였던 주였음 |
내주 소비지전망 |
<일반/완숙/방울/대추토마토 3~5kg/10kg>
중도매인 거래처 발주량 약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매기 또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됨.
제철과일 발주량 증가로 반입량에 따라 내주 소비동향 변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토마토 전체적인 반입량 감소 및 거래처 발주량 감소로 시세 하락세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
( 제철과일 감귤,단감등 조기 출하 및 소비 증가로 토마토 또한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반입량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짐. ) |
내주경매 시세전망 |
<일반/완숙/방울/대추토마토 3~5kg/10kg>
주 산지 작업량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강원 고랭지지역 기온하락으로 생육부진으로 반입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며, 지속적인 지방시장 대비 시세 저하로 지방으로 쏠림현상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반입량 감소로 소비동향 또한 감소 / 시세 약하락세 전망
*지속적인 기온하락시 주산지 작업량 감소예상되며, 중도매인 거래처 큰 발주없는 소량의
발주량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중도매인 거래처 발주량 대비 반입량 감소임에도 불구하고
시세 하락세 형성 유지 지속중임.
현 제철과일(감귤,단감) 출하처 물량 증가로 제철과일 대비 토마토 소비 반입되는 출하량에
따라 소비동향 및 시세 등락폭이 클 것으로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