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정보

대형 농산물 유통회사,
동화청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간시황 - 과일

  • HOME
  • 유통정보
  • 주간시황
  • 과일

09월 4주차 토마토 주간 시황

2014-09-27 오전 9:35:59

경매사사진

경매사 신성오

경매 정보를 나타내며 담당경매사, 경매 정보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경매 정보

품목

토마토(대추방울)

경매시간

02:00

전화번호

이메일

주간 시황 가격을 안내하며 단위, 가격(원) 항목으로 구분된 표입니다.
구분 09월 4주차 시세 정보
단위 가격(원)
토마토(대추방울) 3 kg 등급 금주(A) 전주(B) 등락(A-B)
최고 18,500 23,000 4,500
평균 8,859 10,567 1,708
최저 5,000 3,000 2,000
주간 시황 정보
금주산지동향 주산지 지역별 변동이 심한 기후변화로 물량 수급 부진한 상황. 

<일반토마토 5kg/10kg>

 강원 춘천,철원,양구,홍천,인제,태백/서울 송파구/충북 음성/충남 부여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물량 전주 대비 약증가현상 보였음

<대추형토마토 3kg/방울토마토 5kg>

 충남 부여,논산,예산,충주/전북 익산/강원 춘천,홍천,인제/충북 음성,진천지역에서

 주출하되었으며, 물량 전주 대비 약증가현상 보였음

*지속적인 시세 하락 및 밤낮기온차가 커 작업량 감소 현상 발생하였으며, 주 산지 전체적인

 지방시장대비 시세 지속적인 저단가 형성으로 일부 출하처 지방출하로 출하하는 출하처 

 증가 현상 지속 발생

시장동향 <일반토마토 5kg/10kg>

 전주대비 반입량 감소하기 시작하여 주후반까지 이어지면서, 일교차로 인한 작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하였음. 또한 재고 누적 발생율 감소하였고 당사 강원권,전라권,충청권<2차정식>지역 재배물량은 증가 추세이나, 시세 지방시장대비 저단가 형성으로 지방시장 물량 증가 추세였으며, 반입량 감소현상 보였음.

<대추형토마토 3kg/방울토마토 5kg>

거래처 발주량 증가, 반입량 전주대비 감소하였고, 거래처 발주량 증가 및 반입량 감소로 인해지역별 출하되는 품종별에 따라 시세 등락폭이 컸음

*품종별 발주량 등락폭이 컸고, 주산지 밤낮기온차가 커 시장 전체적인 반입량 감소로 

 소비동향 감소하는 현상 보였음.

*전체적인 지역별 변동이 심한 기상으로 상품성 저하되는 상품 증가하고 있으며,

최대한 숙기조절<색깔,무름,당도>하시어 경매종료후 거래처 납품시 반품되는 일이 없도록

작업을 요함

금주경매시세 <일반토마토 10kg> 

최고시세 38,000~26,000/평균시세 19,000~15,000(전주대비 박스당 +3,809원 /50.1% 상승)

<방울토마토 5kg> 

최고시세 15,000~10,000 / 평균시세 9,000~7,000(전주대비 +2,690원 / 35.6% 상승)

<대추형토마토 3kg>

최고시세 19,000~16,000 / 평균시세 9,000~7,000(전주대비 -1,708원 / 18.9% 하락)

전주대비 반입량 감소하기 시작하여 주후반까지 이어졌으며, 거래처 발주량 증가 시작으로 재고 누적 발생율 감소하였고, 소비동향 전주에 이어 상승세 보였던 주였음. 품종별에 따라 소비동향 감소/증가현상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지역별 시세 등락폭이 컸음. 

*가락시장내 지속적인 반입량 감소현상 보여지고 있으며, 반입량 거래처 발주량 대비 

 감소임에도 불구하고 재고 누적으로 소비동향 감소하여 시세 전체적으로 보합~하락

 형성하였던 주였음

내주 소비지전망

<일반/완숙/방울/대추토마토 3~5kg/10kg>

중도매인 거래처 발주량 약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매기 또한 원활할 것으로 예상됨.

제철과일 발주량 증가로 반입량에 따라 내주 소비동향 변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토마토 전체적인 반입량 약증가 및 거래처 발주량 감소로 시세 약하락세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 

( 제철과일 포도,단감등 소비 증가로 토마토 또한 기후변화가 심하여 반입량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짐. )

내주경매 시세전망 <일반/완숙/방울/대추토마토 3~5kg/10kg>

주 산지 작업량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강원 고랭지지역 밤낮기온차가 커 생육부진으로 반입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며, 지속적인 지방시장 대비 시세 저하로 지방으로 쏠림현상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전체적인 반입량 증가로 소비동향 또한 감소 / 시세 약하락세 전망